중독성 사고와 뇌기능의 소실율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관련링크
본문
안녕하세요. 톡톡브레인연구소 서구점입니다:)
오늘은 요즘 제가 자주 읽어보는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.
●중독성 사고Abraham J. Twerski, M.D
이 책은 중독자들의 사고를 다룬 책입니다. 저자는 중독성 사고가 중독자가 아닌 일반적인 사람들에게서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. 아래의 질문은 AA(Al-anon 알아넌, 알코올 중독자의 가족이 서로 도우며 격려하기 위해 모인 모임)에서 알코올중독 자가진단의 문항들 입니다. 저자는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'음주'라는 단어를 "사고"라는 단어로 바꾸어서 사용하였습니다.
중독성 사고자(思考者) 입니까? | |
1. 중독성 사고 때문에 업무를 태만히 하곤 합니까? | |
2. 중독성 사고 때문에 가정생활이 불행하졌습니까? | |
3. 중독성 사고 때문에 죄책감을 느껴본 적이 있습니까? | |
4. 중독성 사고 때문에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적이 있습니까? | |
5. 중독성 사고 때문에 가족의 안전을 소홀히 하곤 합니까? | |
6. 중독성 사고로 해서 당신의 야심이 위축되지는 않았습니까? | |
7. 중독성 사고 때문에 잠을 설치곤 합니까? | |
8. 중독성 사고 때문에 업무능률이 저하되지 않았습니까? | |
9. 중독성 사고가 당신의 직장 내지 사업을 위태롭게 하고 있지 않습니까? | |
10. 중독성 사고 때문에 근심이나 문제꺼리로부터 회피하는 생각을 합니까? |
저자는 이 문장들에 대해 의존성 물질 사용의 문제없이도 이 왜곡된 중독성 사고만으로 이것이 얼마나 해로운지를 잘 지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중독성 사고만를 가진 많은 이들은 일상 생활에서도 원인과 결과의 위치를 반대로 설정하여 자신들만의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. 중독성 사고를 가진 이들의 판단은 왜곡되어있으며, 그 결과로 자신들의 중독성 물질 또는 매개체 사용을 완전히 정당화하게 된다고 합니다.
만일에 우리가 자신에 대한 인식을 올바르게 가지고 있지 않으면 적응하는데 차질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현실을 정확히 인식할 때만이 우리는 현실에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.
비단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 신체기능의 시각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사회와 인간관계 안에서는 사고와 정서 또는 욕구까지 아울러서 외부를 판단하고 수용하는 기준은 사람, 각 개인마다 다릅니다. 이런 개인의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은 뇌의 기초율동과 뇌파의 소실율 통해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.
뇌 기능검사는 한 번의 검사로 뇌 발달, 학습기능, 정서 및 심리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검사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번거롭고 오래걸리는 일반척도검사 대비 시간이 많이 단축되며, 뇌기능으로 측정하기때문에 검사자가 이상화된 자아로 체크한 부분들로 인해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오는 등의 오차범위를 줄일 수 있습니다.
기초율동 그래프를 통하여 뇌 발달 정도와 현재 피검사자의 뇌파 활동대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.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뇌파들에 대한 소실율 그래프가 나옴으로써 어떤 뇌파로 인하여 현재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이 소실율 그래프를 통하여 수면(뇌의 피로도), 학습, 심리에 대한 부분들을 유추해 볼 수 있어 뇌파분석에서는 빠져서는 안되는 중요한 정보이기도 합니다. 또한 기초율동지수를 통해 뇌의 활동속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^^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